본문 바로가기

한글 맞춤법

띄어쓰기(3) 단어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.

(3) 단어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.


차 한 금 서 소 한 마리
옷 한 조기 한 연필 한 자루
버선 한 집 한 신 두 켤레 북어 한

다만,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.
삼십 제일 학년
1446 10 9 2대대 16 502 제1실습실
80 10 7미터  

단위를 나타내는 의존 명사(수량 단위 불완전 명사)는 그 앞의 수관형사와 띄어 쓴다.
나무 한 그루 고기 두 근 열 길 물 속 은 넉 냥(-쭝)
바느질 실 한 님 엽전 두 닢 금 서 돈(-쭝) 토끼 두 마리
논 두 마지기 쌀 서 말 물 한 모금 실 한 바람
장작 한 바리 열 바퀴 새끼 두 발 국수 한 사리
벼 석 섬 밥 한 술 흙 한 줌 집 세 채
밤 한 톨 김 네 톳 풀 한 포기  

다만
수관형사 뒤에 의존 명사가 붙어서 차례를 나타내는 경우나, 의존 명사가 아라비아 숫자 뒤에 붙는 경우는 붙여 쓸 수 있도록 하였다.
  • 제일 편→제일편 • 제삼 장→제삼장 • 제칠 항→제칠항

'제-'가 생략된 경우라도, 차례를 나타내는 말일 때는 붙여 쓸 수 있다.
  • (제)이십칠 대→이십칠대 • (제)오십팔 회→오십팔회
  • (제)육십칠 번→육십칠번 • (제)구십삼 차→구십삼차

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붙여 쓸 수 있다.
  • (제)일 학년→일학년 • (제)구 사단→구사단
  • (제)칠 연대→칠연대 • (제)삼 층→삼층
  • (제)팔 단→팔단 • (제)육 급→육급
  • (제)16 통→16통 • (제)274 번지→274번지
  • 제1 연구실→제1연구실

또, 연월일, 시각 등도 붙여 쓸 수 있다.
• 일천구백팔십팔 년 오 월 이십 일→일천구백팔십팔년 오월 이십일
  • 여덟 시 오십구 분→여덟시 오십구분

다만, 수효를 나타내는 '개년, 개월, 일(간), 시간' 등은 붙여 쓰지 않는다.
  • 삼 (개)년 육 개월 이십 일(간) 체류하였다.

그러나 아라비아 숫자 뒤에 붙는 의존 명사는 모두 붙여 쓸 수 있다.
  • 35원 • 70관 • 42마일 • 26그램 • 3년 6개월 20일간
수를 적을 적에는 '만(萬)' 단위로 띄어 쓴다.
십이억 삼천사백오십육만 칠천팔백구십팔 12억 3456만 7898
십진법(十進法)에 따라 띄어 쓰던 것을 '만' 단위로 개정하였다. 따라서 '만, 억, 조' 및 '경(京), 해(垓), 자(?)' 단위로 띄어 쓰는 것이다.
십진법에 의하여 띄어 쓰면, 그것이 합리적인 방식이긴 하지만, 너무 작게 갈라 놓는 것이 되어서, 오히려 의미 파악에 지장이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. 그리하여 아라비아 숫자로 금액을 표기할 때 쉼표를 치는 것처럼 세 자리 단위로 띄어서,
  • 십 이억삼천사백 오십육만칠천 육백구십팔(1,234,567,698 )
과 같이 띄느냐 하는 문제도 검토되었으나, '십'과 '이억', '사백'과 '오십육만'이 떨어지는 등 불합리한 형식이 되므로, '만, 억, 조, ...' 단위로 띄어 쓰기로 한 것이다.  
• 삼천이백사십삼조 칠천팔백육십칠억 팔천구백이십칠만 육천삼백오십사
  • 3243조 7867억 8927만 6354

다만, 금액을 적을 때는 변조(變造) 등의 사고를 방지하려는 뜻에서 붙여 쓰는 게 관례로 되어 있다.
  • 일금 : 삼십일만오천육백칠십팔원정.
  • 돈 : 일백칠십육만오천원임.


출처 : 국립국어원 http://www.korean.go.kr/08_new/index.jsp